[이슈] “전철기 심판위원장 조사해 처분 내려달라” 품새 선수와 지도자들 탄원서 제출
650명 서명한 탄원서, 문체부-대한체육회-KTA에 5월 15일 제출
전철기 위원장, "지도자들 주장은 허구-억지, 공지 못한 실수는 인정"
KTA, 21일 품새심판위원회 소집해 논의, 정부 부처 공식 입장 주목
태권도 선수와...
[양인규 칼럼] 태권도 공개심사, 쉽게 할 수 없을까?
- "실제 도장의 거의 모든 활동에 ‘기획企劃’이 필요합니다. 수련계획, 인성교육, 예절교육, 유아태권도, 주말체육의 교육활동 뿐만 아니라 회계, 홍보, 모집, 상담, 야외행사, 차량운행, 귀가지도까지 모든...
[서성원의 눈] 시범단 기술격파 편중 심각, 위력격파는 찬밥?
우리나라에는 수많은 태권도 시범단이 있다. 그 유형을 나눈다면, (1)태권도 제도권 단체가 운영하는 시범단 (2)뜻이 맞는 사람들이 뭉쳐 만든 사설, 즉 동호인 시범단 (3)각 대학...
[서성원의 눈] “무예인가 쇼인가?” 차력 정체성 논란
*차력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인식이 다르다. 무예라는 주장이 많지만 서커스 공연, 쇼(Show), 신체 학대 퍼포먼스라는 시각도 여전하다. 또 여흥과 오락, 예능이 뒤섞인 엔터테인먼트라는 느낌도...
[서성원의 눈] 무분별한 고소·고발은 태권도계 황폐화 주범
상대를 곤경에 빠트리기 위한 자의적-감정적 고소·고발 난무
태권도 개혁 미명 아래 상습적 진정·투서·고소·고발자 꼴불견
우리나라 형사사건동향 보고서를 보면, 형사사건 10건 중 3건이 고소·고발인...
[정책] 국기원, 6-7단 심사 ‘실물 격파’ 긍정 검토
최재무 의장 "실물격파 이뤄지도록 노력"...오현득 원장, 실무진에 비교 검토 지시
지난 9월 <태권박스미디어>가 '6∼7단 심사, 언제까지 플라스틱 모조품 격파할 건가'라는 제목으로 보도한 기사가 큰 반향을...
[사회] 전국 태권도장 평균 수련생 “60명”, ‘가마솥 개구리’ 우려론 확산
저출산-경기침체-레저스포츠 발달-각종 행정규제로 경영난 심화
KTA 올해 도장지원예산 11억 원 편성, 청소년과 성인층 공략해야
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문을 닫는 태권도장과 어린이집이 줄을 잇고 있다. 출산율이...
[역사] 태권도는 어떻게 ‘코리안 가라테’를 극복했나?
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세계로 뻗어 나간 태권도는 일본 가라테(空手道)의 아류로 인식되어 ‘코리안 가라테(Korean Karate)’로 불렸다. 미주와 유럽, 중남미는 가라테의 아성(牙城)과 텃세가 심했다.
1969년 멕시코에 정착한 문대원...
[제안] 태권도장 명칭에 대학교와 학위 꼭 표기해야 하나?
동문도장-학위표기, 도장경영 마케팅 일환 속 갈수록 횡행
'학벌간판주의' 영리추구 산물, 태권도계 배타적 박탈감 조장
동문-학벌 의지하며 자기계발 게을리하는 지도자들 자각해야
2013년 2월, 공정거래위원회는 △△대 출신이 아니면서도 △△대 석사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허위광고...
[역사&학술] 품새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?
품새(품세 : 복수표준어)는 태권도 수련의 주요 과정으로 심사의 핵심이다.
유급자 품새인 태극품새 8개와 유단자 품새인 고려, 금강, 태백, 평원, 지태, 십진, 천권, 한수, 일여 등 9개...